총 101건 (3/12page)
-
- 기간
- 2021-05-18 ~ 2021-10-04 (과거전시)
- 장소
- 부산관 미술관
- 전시설명
- 021년 부처님 오신 날 기념 특별전시 「봄날, 부처님 나투시다」를 5월 18일부터 8월 29일까지 104일간 개최합니다.전시에서는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하여 부산박물관 수장고에 보관 중이던 불상과 불화 등의 불교문화재를 소개합니다.이번에 전시되는 불상들은 16~18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모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불상은 머리 장식·목걸이와 귀걸이 장식에 따라 여래상과 보살상으로 나누어지며, 이 중 아미타불은 석가모니 부처가 실현한 생사를 뛰어넘는 불생불멸의 열반과 온갖 번뇌를 몰아낸 지혜를 광명화 한 부처입니다....
-
- 기간
- 2021-04-30 ~ 2021-06-30 (과거전시)
- 장소
- 기획전시실
- 전시설명
- 부산박물관은 4월 30일부터 6월 30일까지 62일간 기획전시실에서 2021년 발굴조사 성과전「배산성, 감춰진 역사의 비밀을 열다」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진행된 배산성 발굴조사의 연구성과와 출토유물을 최초로 전시하는 자리로, 고대 동남해안에서 내륙으로 진입하는 첫 관문인 군사적 요충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배산성의 역사적 실체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전시는 도입부에서 1978년 개관 이래, 박물관에서 수행했던 100여 회가 넘는 발굴조사 중 부산을 대표하는 유적과 성과를 소개합...
-
2021년 제1회 신수유물 소개전 「나전螺鈿, 미술이 되다」
- 기간
- 2021-02-16 ~ 2021-06-13 (과거전시)
- 장소
- 부산관 2층 미술실
- 전시설명
- 021년 제1회 2020년 신수유물(新收遺物) 소개전 「나전螺鈿, 미술이 되다」는 부산박물관이 2020년 구입한 유물 중 근대 나전칠기 6점을 선별, 시민들에게 첫선을 보이는 자리이다.얇게 갈아낸 조개껍데기로 무늬를 만들어 기물의 표면에 박아 넣어 꾸미는 나전공예螺鈿工藝는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 공예기법이지만, 근대에 들어서면서 ‘도안’과 ‘실톱’을 수용하여 좀 더 섬세한 표현이 가능해지는 등 큰 성장을 이루었다. 또한 각종 박람회에서 예술적 우수성을 인정받으면서 나전공예를 일상용품의 제작이 아닌 ‘미술’의 한 분야로 인식하...
-
- 기간
- 2021-02-02 ~ 2021-03-31 (과거전시)
- 장소
- 기획전시실
- 전시설명
- 부산박물관은 2021년 신축년(辛丑年) 흰 소의 해를 맞아 2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 58일간 기획전시실에서 새해맞이 띠 전시 「새해를 여는 동물 이야기, 들어보소」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민속, 속담, 동요 등 우리 역사와 문화 속에 담겨있는 다양한 ‘소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먼저, 한글이 새겨진 분청사기 유물을 통해 역사 속 소띠 위인은 누가 있는지 알아보고, 소와 관련된 부산의 지명 이야기 등을 살펴봅니다. 또한, 띠 전시의 내용과 관련된 유물과 영상을 상설전시실에서 찾아보는 과제 활동도 제시해 더욱 재...
-
제3회 신수유물 소개전 <그릇과 꽃가지를 그려 복을 빌다>
- 기간
- 2020-10-13 ~ 2021-02-14 (과거전시)
- 장소
- 2층 미술실
- 전시설명
- 신수유물 소개전’은 부산박물관이 기증받거나 구입한 유물과 보존처리가 끝난 유물 중 시민들에게 공개하지 못한 유물을 새롭게 소개하는 전시로, 이번에 소개할 유물은 「기명절지도(器皿折枝圖)」 10폭 병풍이다. ‘기명절지도(器皿折枝圖)’는 중국의 고동기(古銅器: 고대 제사에 쓰이던 청동으로 만든 제기)나 진귀한 도자기에 꽃가지, 과일, 채소 등을 곁들인 일종의 정물화이다. 중국에서는 청공도(淸供圖), 박고도(博古圖), 세조도(歲朝圖) 등으로 불렸으며 명청대 화훼화(花卉畵)가 발전하면서 다양한 형식의 정물 그림들로 발전하였다. 우리나라에...
-
- 기간
- 2020-11-10 ~ 2021-01-10 (과거전시)
- 장소
- 기획전시실
- 전시설명
- 이번 전시는 2020년 상반기 국립한글박물관에서 개최된 노랫말-선율에 삶을 싣다의 부산 순회전시로, 보다 많은 대중에게 노랫말의 의미와 가치를 소개하고자 부산박물관과 국립한글박물관의 공동으로 마련하였다. 특별전 노랫말은 대중가요 음반이나 가수가 아닌 노랫말이라는 언어 요소를 조명한 전시이다. 선율에 맞춰 부르기 위해 쓰인 노랫말은 우리나라 대중가요 100년의 역사 속에서 대중과 함께 성장하면서 대중의 삶을 대변하고 공감하는 강력을 힘을 가졌다. 전시는 대중가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92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대중의 삶과 함께...
-
부산박물관 2020년 테마전 『부산, 그 역사의 시작』
- 기간
- 2020-08-04 ~ 2020-10-25 (과거전시)
- 장소
- 부산박물관 동래관 2층 선사실
- 전시설명
- 산박물관에서는 올해 테마 전시로 8월 4일(화)부터 10월 25일(일)까지 ‘부산, 그 역사의 시작’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부산박물관 선사실을 7년 만에 개편하기 위하여 기획되었으며, 진열장 개·보수와 함께 부산의 구석기시대부터 삼한시대까지 전시공간 전면 개선을 통해 전시실의 이미지를 쇄신하는 데 목적을 두었습니다. 특히 최근 전시 경향을 반영해 입체적 전시로 관람환경을 개선하고, 최신 발굴자료 등 새롭게 전시유물을 보강해 부산의 선사시대 문화를 구체적으로 구현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전시구성은 도입부를 거쳐 부산의 구석기시대...
-
- 기간
- 2020-04-07 ~ 2020-05-31 (과거전시)
- 장소
- 부산관 기획전시실・기증전시실
- 전시설명
- 난 30여 년 간에 걸친 발굴 성과를 토대로 고대 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기 위해 기획된 이번 특별전시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옛 가야의 진면목을 많은 시민들에게 소개하고자 마련되었다. 그동안 축적된 양질의 자료들을 전시에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새롭게 채워진 가야의 모습을 관람객들에게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노력하였다.이번 전시는 번영, 공존, 힘, 화합의 4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1부 번영에서는 철을 매개로한 활발한 해상무역 활동을 통해 삼국과 당당하게 견줄 정도로 성장했던 가야의 역사를 이야기한다. 2부에서...
-
2020년 제1회 신수유물 소개전 「지도가 그림에 스며들다」
- 기간
- 2020-02-18 ~ 2020-06-14 (과거전시)
- 장소
- 부산시립박물관 부산관 2층 미술실
- 전시설명
- 신수유물 소개전’은 부산박물관이 기증받거나 구입한 유물과 보존처리가 끝난 유물 중 시민들에게 공개하지 못한 유물을 새롭게 소개하는 전시로, 이번에 소개할 유물은 「진주성도(晉州城圖)」 10폭 병풍이다. 18세기 영조·정조 연간을 거치면서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와 회화식(繪畵式) 지도를 포괄하는 실경도(實景圖)가 확산되면서, 19세기에는 산수화·풍속화·기록화·지도 등의 요소가 한 화면에 조합된 새로운 병풍이 유행하였다. 한양, 평양, 진주, 통영 등 특정 고을의 전경을 그린 성도(城圖)가 많이 그려졌다. 현재 알려진 진주성도(晉州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