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1건 (5/12page)
-
부산박물관 2018년 국제교류전 "UNESCO 세계기록유산, 통신사 기록물"
- 기간
- 2018-10-26 ~ 2018-11-25 (과거전시)
- 장소
- 부산박물관 기획전시실
- 전시설명
- 한국과 일본에 소재한 통신사 기록물은 2017년 10월 UNESCO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국내 기록물로는 1997년 『조선왕조실록』 과 『훈민정음(해례본)』이 세계기록유산으로 처음 등재된 후 15번째 등재이다. 통신사는 16세기 말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을 침략하면서 단절된 국교를 회복하고 양국 간 평화관계를 유지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 통신사의 왕래로 양국은 증오와 오해를 풀고 상호 이해를 확대할 수 있었고 외교, 학문, 문화예술,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교류할 수 있었다.통신사 기록물은 1607년부터 ...
-
- 기간
- 2018-05-18 ~ 2018-08-19 (과거전시)
- 장소
- 부산박물관 기획전시실
- 전시설명
- 아프리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대륙이며 총 54개의 나라로 이루어져 있다. 존재하는 부족의 수는 수천이며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언어만 해도 2,000여 개에 이를 정도로 다양한 문화와 특징이 존재하는 광활한 대륙이다. 이번 전시는 부산에서 개최되는 제53차 아프리카개발은행 연차총회(AfDB)를 기념하여, 그동안 우리가 막연하게만 알고 있었던 아프리카의 역사와 문화를 조금 더 깊게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이번 전시는 크게 4개의 장(章)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Ⅰ장 “세계 속의 아프리카”에서는 15~19세기...
-
2018 부산광역시지정 무형문화재 보유자 작품전 "혼으로 이어온 맥"
- 기간
- 2018-09-06 ~ 2018-09-26 (과거전시)
- 장소
- 부산박물관 기획전시실
- 전시설명
- 이번 전시회는 부산 장인들과 우리 전통 문화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기 위해 기획되었다. 전시 구성은 크게 불교 예술 분야와 전통 생활문화 분야로 나뉜다. 불교 예술 부분에서는 불상과 불화, 선화, 범종이 어우러져 불교 예술의 정수를 보여주며, 전통 생활문화 부분에서는 전통 신발과 전통 연, 도자기와 다양한 전각 및 동장각 작품, 하단 돛배 등이 전시되어 옛 선조들로부터 이어져 온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솜씨를 한껏 기대해 볼 수 있다. 10개 분야 중 주성장(鑄成匠) 박한종(무형문화재 제12호)은 1957년 동종 제작에 입문해 1995...
-
- 기간
- 2017-11-06 ~ 2017-12-10 (과거전시)
- 장소
- 부산박물관 기획전시실
- 전시설명
- 치바이스(齊白石, 1864~1957)는 ‘시서화(詩書畵) 일치’ 그리고 ‘사의성(寫意性) 추구’란 중국 문인화의 이상을 완벽히 실현하면서도 표현적이고 현대적인 조형 감각으로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이룩한 중국 근대기 화단의 최고 거장 중 한 사람이다. 치바이스의 예술세계를 한국에 널리 알릴 목적으로 기획된 이번 전시에는 치바이스의 출생지인 중국 호남성에 소재한 호남성박물관 및 상담시제백석기념관에서 소장한 치바이스의 서화 및 전각 등 133건의 유물이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이와 함께 치바이스의 예술 정신을 계승한 호남성 현대서예가들의...
-
- 기간
- 2017-07-11 ~ 2017-08-06 (과거전시)
- 장소
- 부산박물관 기획전시실
- 전시설명
- 부산박물관 부산관 재개관을 기념하여 한국미술협회 민화분과위원회와 공동으로 특별기획전 꿈과 익살의 민화를 개최합니다. 민화는 거주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며, 잔치에 축하용으로 사용되는 실용적인 그림입니다. 내용을 살피면 입신양명의 출세⋅장수⋅건강⋅행복⋅평안⋅부, 잡귀와 같은 부정한 것을 막기 위함 등 오늘날 우리 모두의 바람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진솔한 염원과 유쾌한 익살이 잘 어우러진 우리 민화는 따뜻하고 정감어린 민중의 예술입니다. 민화에 담긴 꿈과 익살이 관람객 여러분의 나날의 삶 속에 힘과 응원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번 특별...
-
- 기간
- 2016-10-25 ~ 2017-02-26 (과거전시)
- 장소
- 부산박물관 동래관 고려실
- 전시설명
- 매년 4회 개최되고 있는 신수유물소개전의 올해 세 번째 전시를 10월 25일(화)부터 내년 2월 26(일)까지 개최합니다. 신수유물 소개전은 부산박물관이 최근 입수한 기증·수탁 유물이나 보존처리가 끝난 유물들을 소개하는 전시로, 이번 전시는 최근 구입한 묵국도(墨菊圖)와 묵포도(墨葡圖)가 전시됩니다. 국화는 서리가 내리는 계절에 꽃을 피우는 강인한 성격과 맑은 향기를 지닌 식물로 사군자(四君子) 중 가을을 상징하는 꽃이고, 조선시대 문인들은 일찍이 국화를 사군자 중 하나의 소재로 받아들여 ‘고상함’, ‘절개’ 등의 이상적 가치를 ...
-
- 기간
- 2016-08-02 ~ 2016-11-13 (과거전시)
- 장소
- 부산박물관 동래관 고려실
- 전시설명
- 매년 4회 개최되고 있는 신수유물소개전의 올해 두 번째 전시를 8월 2일(화)부터 11월 13(일)까지 개최합니다. 신수유물 소개전은 부산박물관이 최근 입수한 기증·수탁 유물이나 보존처리가 끝난 유물들을 소개하는 전시로, 이번 전시는 올해 구입한 해진도(海陣圖) 1점이 전시됩니다. 해진도는 수군조련도·귀선도 등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조선후기 삼도 수군의 합동훈련을 묘사해 놓은 그림입니다. 이 작품은 병서(兵書)를 참고로 하여 그린 기록화로, 화가가 실제 모습을 보고 그리는 순수회화와는 다른 것입니다. 해진도에는 조선후기의 주...
-
- 기간
- 2016-02-02 ~ 2016-03-27 (과거전시)
- 장소
- 부산박물관 부산관 2층 서로비
- 전시설명
- 부산박물관은 2010년부터 지금까지 돼지,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을 주제로 띠전시를 이어왔습니다. 올해로 10번째 개최하는 띠전시는 십이지 동물들이 상징하는 의미를 알리고 시민들에게 새해의 희망을 주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십이지 동물 중 십이지 동물 중 인간과 가장 많이 닮은 원숭이는 만능 재주꾼으로, 예로부터 사람들의 사랑을 많이 받아 왔습니다. 지능이 높은 원숭이는 도구를 사용하며, 집단생활을 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런가 하면 원숭이는 모성의 상징입니다. 새끼를 아끼는 어미 원숭이의 애끓는 모성은...
-
- 기간
- 2015-12-15 ~ 2016-02-28 (과거전시)
- 장소
- 부산박물관 기증전시실
- 전시설명
- 부산박물관에서는 매년 4회 개최되고 있는 신수유물소개전의 올해 네 번째 전시를 12월 15일(화)부터 내년 2월 28(일)까지 개최합니다. 신수유물 소개전은 부산박물관이 최근 입수한 기증·수탁 유물이나 보존처리가 끝난 유물들을 소개하는 전시로, 이번 전시는 최근 국가귀속 된 부산 낙민동유적 우물 출토품이 전시됩니다.우물은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식수를 공급하는 실용적인 시설입니다. 생활상 중요한 공간에 해당함은 물론, 우리 설화나 민속에서도 다양한 신화적 상징성을 지닌 채 전승되고 있습니다. 『삼국사기』, 『삼국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