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소장품정보 > 중요 소장품

중요 소장품

78 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상주 안수사명 동종(尙州 安水寺銘 銅鐘)(제225호)

    Title

    분류명
    부산광역시지정유형문화재
    소장품명
    상주 안수사명 동종(尙州 安水寺銘 銅鐘)(제225호)
    내용

    충북 제천 부근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중형의 범종으로, 국내에 현존하는 고려종 가운데 비교적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정면에는 ‘정사년칠월일(丁巳年七月日) 상주 안수사의 쇠종을 주성한 연유가 새겨져 있으며 무쇠종이 깨어져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으므로 놋쇠 40근을 합하여 이것으로 종을 주조하여 절에 바친다’는 주성 내용이, 후면의 발원문에는 승속명(僧俗名)과 장인 유선이 만들었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는데, 이 명문을 통하여 경상북도 상주 안수사의 동종임을 알 수 있다.

    형태는 범종의 일반적인 형태와 같다. 종의 정상에 한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문 모습으로 표현된 손잡이가 있고 그 옆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이 있다. 천장의 바깥 가장자리에는 고려 후기 종의 특징인 입상화문대(立狀花文帶)가 돌출되어 있다. 몸통은 당초문(唐草文), 연화문(蓮花文), 천개(天蓋), 보살상 등으로 화려하게 꾸몄는데, 당좌와 당좌 사이에 보살좌상을 배치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 시대 : 고려시대(12세기)
    ◎ 높이 : 51.0cm
    ◎ 구경 : 31.5cm

     

  • 청자상감국화문탁잔 (靑磁象嵌菊花文托盞)

    Title

    분류명
    기타중요소장유물
    소장품명
    청자상감국화문탁잔 (靑磁象嵌菊花文托盞)
    내용
    받침대가 딸린 고려중기의 청자잔으로서, 잔과 받침대가 전체적으로 10개의 꽃잎을 가진 꽃모양을 이루고 있다. 잔의 구연부와 받침대의 접시 부분은 꽃잎의 끝을 산형(山形)으로, 받침대의 대각부분은 능형(陵形)으로 각각 표현하였다.

    표면은 당초문ㆍ국화문 등으로 상감장식하였는데 상감기법은 금속공예의 입사기법과 나전칠기의 상감법 등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도자기 상감법은, 12세기 전반부터 청자에 사용되기 시작하여 조선초 분청사기와 백자에까지 이어진 시문기법(施文技法 ; 문양을 새기는 기술)으로서, 반 건조시킨 그릇표면에 새기고자 하는 문양을 음각한 후 백토ㆍ자토 등 태토와 다른 색의 흙을 채워 넣어 소성 후 회색 태토에 흰색, 검은색 등으로 문양이 나타나게 된다
    ◎ 시대 : 고려(12세기)
    ◎ 규격 : 잔 높이7cm 구경8cm 저경4cm
    ◎ 받침 : 높이6.8cm 구경13.5cm 저경7.5cm

  • 범방패총 낚시바늘

    Title

    분류명
    기타중요소장유물
    소장품명
    범방패총 낚시바늘
    내용

    강서구 범방동에서 출토된 결합식 낚시바늘은 돌로 된 축부(몸체)와 뼈로 된 미늘(바늘)을 따로 만들어 축부의 아래 끝과 미늘의 아래 끝을 끈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낚시바늘이다. 강원도 양양 오산리를 비롯한 신석기시대의 유적에서 출토되어 신석기시대의 어로상황을 알아볼 수 있는 유물이다.
    축부의 위쪽 머리부분에는 2∼4조의 홈이 마련되어 있어 낚시줄을 묶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축 : 길이 7.1cm,
    ◎ 너비 : 1.1cm,
    ◎ 두께: 0.9cm
    ◎ 바늘 : 길이 3.7cm, 너비0.8cm, 두께0.9cm  

  • 이덕성가 문적(李德成家 文籍)(제84호)

    Title

    분류명
    부산광역시지정유형문화재
    소장품명
    이덕성가 문적(李德成家 文籍)(제84호)
    내용

    200842일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재 제84호로 지정된 <이덕성가 문적>은 조선 후기 선비 반곡공 이덕성 가문의 유물 912책의 고서와 67매의 고문서 등 79점이다. 이덕성 가문은 조선 제2대 정종의 열 번째 아들인 덕황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5대손 이유간(李惟侃)의 후손이다. 정치적으로는 소론이며 학문적으로는 양명학적인 입장을 견지하면서 조선 후기에는 강화학파를 형성하였으며, 학문·예술적으로 뛰어난 육진팔광(六眞八匡)을 배출하는 등 조선 중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조선조 사회에 정치·학술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친 집안이다. ‘육진은 석문공(石門公) 이경직(李景稷) 후손 중에서 진순(眞淳, 16781738)·진수(眞洙, 16841732)·진유(眞儒, 16691730)·진검(眞儉, 16711727)·진급(眞伋, 16751747)·진위(眞偉, 16811770)와 백헌공(白軒公) 이경석(李景奭) 후손 중에서 진망(眞望, 16721737)을 합쳐 말하며, ‘팔광이란 석문공 이경직 후손에서 광세(匡世, 16791756)·광보(匡輔, 16871745)·광려(匡呂, 17201783)·광사(匡師, 17051777)·광찬(匡贊, 17021766)과 백헌공 이경석 후손 중에서 광덕(匡德광의(匡誼, 16971746)·광도(匡度, 17171746)를 합쳐 칭한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이덕성의 종조부인 이경석의 백헌필첩(白軒筆帖), 부친인 이후영(李後英)참판공집(參判公集), 장자인 이진원(李眞源)시직공유묵(侍直公遺墨), 손자인 이광려(李匡呂)선집(先集)참봉공집(參奉公集), 재종손으로 문장과 글씨로 이름을 날린 이광사(李匡師)원교집(圓嶠集), 삼종현손인 이면백(李勉伯)대연유고(垈淵遺稿)등이다. 이들 문적들이 시기적으로는 17~19세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물 제1501호로 지정된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李德成 肖像 關聯資料 一括)’과 관련된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가치가 있다. 그리고 고서의 경우 명문가의 저서로서 명필가의 필적과 유명인의 친필이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대부분이 유일본인 필사본이라는 점 때문에 한국의 서지학, 국문학, 고미술사학 등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고문서의 경우도 이덕성의 두 아들 시직공 이진원과 서간공(西澗公) 이진수(李眞洙), 손자 참봉공(參奉公) 이광윤(李匡尹)의 것으로, 특히 이진수의 교지 56매가 빠짐없이 다 보전되어 있어 당시 과거제도와 인사행정 뿐만 아니라 한국의 씨족사 및 명문가의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가로: 30.8cm, 세로: 21.5cm

자료관리 담당부서

유물관리팀
051-610-7137
최근 업데이트
2023-11-20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