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전시안내 > 특별 전시

특별 전시

101건 (4/12page)
  • 부산박물관-띠전시-홈피용배너-01.jpg

    2020 경자년 쥐띠 해 테마 전시 <근면과 예지의 동물, 쥐>

    기간
    2020-01-21  ~  2020-03-08  (과거전시)
    장소
    부산박물관 1층 로비
    전시설명
    한자문화권인 동아시아에서는 하늘의 기운을 나타내는 10개의 천간(天干)과 12개의 지지(地支)를 조합해 연도나 날짜를 나타내며, 이를 간지(干支)라 한다. 2020년 경자년(庚子年)은 천간 중 7번째인 경(庚)과 지지 중 쥐를 뜻하는 자(子)가 만난 36번째 간지이다.경은 오방색 중 백색을 의미하므로 경자년은 흰 쥐띠 해이다. 땅을 지키는 십이지신 중 첫 번째 동물인 쥐는 정북 방향을 지키는 방위의 신이자 23시~1시를 담당하는 시간의 신이다. 부산박물관 부산관 1층 로비에 마련되는 이번 전시에서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20호 ...
  • 오백나한전_포스터.jpg

    2019 특별전 <창령사 터 오백나한, 당신의 마음을 닮은 얼굴>

    기간
    2019-11-28  ~  2020-02-02  (과거전시)
    장소
    부산박물관 기증전시실
    전시설명
    영월 창령사 터에서 발굴된 오백나한이 주인공인 이번 전시는 불가(佛家)의 진리를 깨우친 성자 ‘나한’이 평범한 우리의 모습을 닮아 있는 친근한 매력으로 많은 관람객들과 전문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국립춘천박물관의 2018년 “영월 창령사 터 오백나한, 당신의 마음을 닮은 얼굴”전의 부산 전시이다. 이 전시는 2018년 8월 국립춘천박물관을 시작으로 2019년 4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되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으며, 이번에 부산박물관에서 개최되게 되었다. 전시 1부는 ‘성속(聖俗)을 넘나드는 나한의 얼굴들’이라는 주제 아래...
  • 미얀마전시 포스터 국전완료_OUT-01 - 용량축소.jpg

    2019년 국제교류전 <미얀마의 불교미술>

    기간
    2019-11-19  ~  2020-01-12  (과거전시)
    장소
    부산박물관 기획전시실
    전시설명
    이번 국제교류전은 개관 41주년과 이번 달 말에 예정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담’ 및 ‘한-메콩 정상회의’의 부산 개최를 기념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부산박물관은 이번 전시를 위해 지난 2017년부터 미얀마 현지 박물관의 자료를 조사하고, 미얀마 종교문화부 고고학국립박물관국과의 긴밀한 협의를 이어왔다. 이에 미얀마 국립박물관(양곤·네피도·바간·스리 크세트라) 4개처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교 유물 110여 점을 대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전시는 국내에 미얀마를 소개하는 첫 전시인 만큼 불교미술을 통해 미얀마의 역사와 문화를 통사...
  • 신수유물소개전_1.jpg

    2019년 제3회 신수유물소개전 <황제의 초상화, 서경, 풍경궁에 모시다>

    기간
    2019-11-05  ~  2020-02-16  (과거전시)
    장소
    부산박물관 부산관 2층 미술실
    전시설명
    이 그림의 본래 명칭은 「어진예진봉왕서경교시시자경기지풍경궁봉안반차도(御眞睿眞奉往西京敎是時自京畿至豊慶宮奉安班次圖)」이다. 고종(高宗)의 어진(御眞;왕의 초상화)과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純宗)의 예진(睿眞;왕세자의 초상화)을 경기(京畿)에서 서경(西京)에 있는 풍경궁(豊慶宮)에 봉안하러 가는 행렬을 그린 반차도라는 뜻이다. ※서경(西京): 지금의 평양, 1897년 대한제국을 개창한 고종은 1902년 평양부(平壤府)를 서경(西京)으로 승격시키고 양경(兩京) 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다. ※반차도(班次圖): 조선시대 국가 의례에 참여하는 문무...
  • 한국의수중보물(페이스북).jpg

    부산박물관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공동기획 특별전 『한국의 수중보물, 타임캡슐을 열다』

    기간
    2019-08-20  ~  2019-10-06  (과거전시)
    장소
    부산박물관 부산관 기획전시실
    전시설명
    이번 특별전은 1976년 신안선 발굴을 기점으로 탄생한 우리나라 수중고고학의 40여 년에 걸친 업적과 성과를 소개하고 수중문화재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이해를 한 차원 높이고자 마련되었다. 전시 기간 동안 총 480점의 엄선된 유물들이 관람객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며, 평소 접하기 힘들었던 다양한 볼거리들이 풍성하게 제공될 계획이다. 전시는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부 바닷속 보물창고, 난파선을 만나다, 제2부 바닷길에서 새로운 삶과 풍요를 꿈꾸다, 제3부 흙과 불로 빚은 미학, 바닷길로 퍼지다, 제4부 바닷길로 나라의 세금을...
  • 전체.jpg

    교육체험전시 <박물관 놀이터 >

    기간
    2019-06-28  ~  2019-07-21  (과거전시)
    장소
    부산박물관 기획전시실
    전시설명
    이번 전시에서는 개관 이래 부산박물관이 기획‧운영한 교육체험 프로그램중에 가장 인기가 많았던 교육체험 성과물과 6월 3일에 진행된 제17회 문화재 그리기대회 수상작 60여 점을 함께 선보인다. 부산박물관은 개관 이래로 독창적이고 다양한 교육체험 및 문화행사를 기획‧운영해왔으며 유아~성인까지 많은 시민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부산박물관의 대표적인 유아 대상 프로그램인 박물관 요미조미, 초등 대상 프로그램인 토요박물관교실, 중학생 대상 프로그램인 중학생 창의 체험등에서 사용된 체험교구와 가족 대상 프로그램 명절맞이 민속놀이 한마당, 박...
  • 효자도(연장)_웹.jpg

    2019년도 제2회 신수 유물 소개전 "이야기가 있는 민화, 효자도"

    기간
    2019-06-18  ~  2019-11-03  (과거전시)
    장소
    부산박물관
    전시설명
    ‘신수 유물 소개전’은 부산박물관이 기증받거나 구입한 유물과 보존처리가 끝난 유물 중 시민들에게 공개하지 못한 유물을 새롭게 소개하는 전시로, 이번 전시에는 2011년에 구입하여 장황(裝潢)을 새로이 한 효자도 병풍(孝子圖屛風)을 전시한다. 조선시대의 효(孝)는 충(忠)의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 국가통치의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개념이다. 효자들의 고사를 그린 효자도(孝子圖)는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1434년), 『속삼강행실도(續三綱行實圖)』(1514년),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屬三綱行實圖)』(1617년), 『오륜행실도(五...
  • 특별전_서영해.jpg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특별전 “서영해 _ 파리의 꼬레앙, 유럽을 깨우다”

    기간
    2019-04-11  ~  2019-06-09  (과거전시)
    장소
    부산박물관 기획전시실
    전시설명
    이번 특별전에서는 지난해 12월 경남여자고등학교 역사관이 부산박물관에 기증한 695점의 유물 중 130여 점이 선별돼 소개된다. 이 유물들은 서영해 선생이 프랑스에 도착한 1920년부터 1948년까지의 활동과 관련한 증명 서류, 임시정부 요인들과 주고받은 서신과 통신문, 각종 불어 저술 자료, 사진 등이다. 경남여자고등학교 역사관이 기증한 이 자료들은 서영해 선생의 부인 황순조 전 경남여자고등학교장이 보관해 온 것이다. 황 전 교장은 경남여자고등학고 재직 당시 국어 교사였던 류영남에게 부군의 자료를 전달하고 정리를 부탁한 뒤, 1...
  • 홍보배너2.jpg

    부산시립박물관, 2019년도 제1회 신수유물소개전 개최

    기간
    2019-02-19  ~  2019-06-16  (과거전시)
    장소
    부산시립박물관
    전시설명
    「목조여래좌상」등 4점은 16~18세기에 활동하던 현진(玄眞), 상정(尙淨), 진열(進悅) 등 조각승들이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들이다. 특히 임진왜란 이후 활발한 불사로 인해 당시 활약하던 대표적인 이들 조각승들은 전국에 많은 작품을 남기며 자신들의 계파를 이루었다. 그들의 불교조각 양식과 표현기법은 그 이전시기에 비해 조각수법이 다소 형식화되었으나 불상을 조성한 조각승의 계보에 따라 특징적인 양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불상들은 조선시대 불교미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송의정 관장은 “이번 전시는 조선시대...


자료관리 담당부서

전시운영팀
051-610-7142
최근 업데이트
2025-03-18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