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상감국화문화형병
유물명
청자상감국화문화형병
상감은 원하는 문양을 파낸 후 그 안에 백토와 자토를 감입하는 기법으로 번조하면 백토는 백색, 자토는 흑색으로 변한다. 이러한 상감기법은 고려시대 중기인 12세기부터 후기인 14세기까지의 청자와 조선시대인 15세기에도 분청사기의 장식기법에 이용되었다. 이 유물의 태토는 기포와 모래가 있어 표면이 거칠지만 양호하다. 빙렬은 없으면 유색은 황갈색을 띠고 있다. 나팔형의 넓은 입부분에서 목부분으로 줄어들다가 몸통부분에서 팽만하고 굽부분에서 밖으로 벌어진 병이다. 목부분의 윗면에 는 학이 두 마리, 밑면에는 새로로 여러 곳을 구획한 후 그 안에 세 개의 연주문을 백상감 하였다. 어깨부분에는 백상감의 여의두문대가 있으며 그 아래에는 文표라는 글자를 흑상감 하였다. 몸통에는 세로로 네 곳을 구획한 후 그안에 국화,모란,학을 흑백상감 하였다. 몸통의 밑면에는 연판문대를 돌렸고 굽의 바깥면에는 음각선문을 시문하였다. 굽바닥에는 유약을 닦아낸 후 모래를 받쳤다. 도식화된 문양요소, 모래받침 등의 고려후기 상감청자의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