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상감어문매병
유물명
분청상감어문매병
매병은 수액을 담는데 사용한 병의 일종이다. 매병은 고려시대 전기인 11세기부터 후기인 14세기까지 청자로 만들어졌으며 조선시대인 15세기에도 분청사기로 제작되었다. 이 매병의 형태는 고려시대의 매병과 비슷하나 몸통의 아랫부분이 더욱 들어가 S字形을 하고 있다. 태토는 잡티와 모래가 섞여 있으나 양호하다. 일부 유약을 입히지 않은 곳이 있으며 유색은 회녹색을 띠고 있다. 어깨부분에는 연판문대와 당초문대를 돌렸다. 몸통의 중앙부에는 큰 물고기와 작은 새를 그 아래에는 상하로 세 줄의 선을 돌린 다음, 그 내부에 파초문을 시문하였다. 굽은 안굽이며 모래를 받친 흔적이 있다. 입부분과 몸통 아랫부분의 일부를 수리하였다. 상감기법은 15세기 분청사기에 많이 사용한 장식기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