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부산광역시

소장품정보주요 소장품

주요 소장품


동래부 동하면고문서 (東萊府 東下面古文書)(제24호)

동래부 동하면고문서 (東萊府 東下面古文書)(제24호)

분류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유산

소장품명

동래부 동하면고문서 (東萊府 東下面古文書)(제24호)

동하면 고문서는 조선시대 동래부 동하면(지금의 해운대구 일원)의 지방자치행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서로서, 이 지역의 사회적·문화적 배경을 소상하게 알려줄 뿐 아니라, 조선후기 지방행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동하면 고문서로서 보존되어온 자료는 동하면호적대장1책을 포함해 모두 30책으로, 문서의 분량은 1910년 이전 문서 383, 1910년 이후 문서 87면 등 모두 470면이다. 동하면 고문서는 조선후기 부산의 역사, 사회, 문화 연구에 대단히 소중한 자료로서, 이 자료를 통해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나 왜관 관련 자료들에서 살펴볼 수 없었던 특수한 행정 사항이나 민간의 실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운대 지역의 지역사를 규명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문헌적 근거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조선후기의 지방자치 행정제도를 연구하는데 면() 단위의 공용문서로서 매우 희귀한 것으로 그 동안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었던 향약이나 동약의 풍헌, 약정 등의 역할 분담과 직책이 보다 소상하게 밝힐 수 있는 자료이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조선시대의 지방행정에 관한 문헌이 거의 없어졌으나, 조선시대의 사회, 행정, 문화적 배경과 전통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가로: 31cm, 세로: 39.4cm

동하면 고문서는 조선시대 동래부 동하면(지금의 해운대구 일원)의 지방자치행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서로서, 이 지역의 사회적·문화적 배경을 소상하게 알려줄 뿐 아니라, 조선후기 지방행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동하면 고문서로서 보존되어온 자료는 동하면호적대장1책을 포함해 모두 30책으로, 문서의 분량은 1910년 이전 문서 383, 1910년 이후 문서 87면 등 모두 470면이다. 동하면 고문서는 조선후기 부산의 역사, 사회, 문화 연구에 대단히 소중한 자료로서, 이 자료를 통해 동래부읍지(東萊府邑誌)나 왜관 관련 자료들에서 살펴볼 수 없었던 특수한 행정 사항이나 민간의 실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해운대 지역의 지역사를 규명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문헌적 근거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조선후기의 지방자치 행정제도를 연구하는데 면() 단위의 공용문서로서 매우 희귀한 것으로 그 동안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었던 향약이나 동약의 풍헌, 약정 등의 역할 분담과 직책이 보다 소상하게 밝힐 수 있는 자료이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조선시대의 지방행정에 관한 문헌이 거의 없어졌으나, 조선시대의 사회, 행정, 문화적 배경과 전통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가로: 31cm, 세로: 39.4cm

-->


자료관리 담당부서

유물관리팀
051-610-7134
최근 업데이트
2025-03-25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