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남문비(東萊南門碑)(제21호)
분류
부산광역시지정 기념물
소장품명
동래남문비(東萊南門碑)(제21호)
이 비석은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 남문에서 왜적의 대군과 싸우다 순절하신 부사 송상현공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하여 현종11년(1670년)에 당시의 격전지인 남문 밖 농주산에 세운 비석이다. 그 후 숙종 14년(1688년)에 부사 이덕성이 중창하고 숙종 35년(1709년)에 부사 권이진이 충렬사에 별사(別祠)를 세울 때 별사 앞뜰로 옮겨 왔으나, 영조12년(1736년) 별사를 없애게 되자 동래성 남문 자리로 옮겨 세웠다. 현재는 시립박물관 야외 전시장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비문에는 부산지방의 임진왜란 순절사적이 적혀 있으며, 당시 정계, 학계의 저명한 원로들이 참여하였는데 글은 송시열이 짓고 송준길이 썼으며, 전자(篆字)는 이정영이 썼다. 비석의 비두석(碑頭石)에는 쌍용조각이 있고 대석(台石)은 없어졌다. 현재 비석은 크게 파손되고 비면에 새겨진 기록은 거의 떨어져 상부에 약간이 글만 남아있으나 필사본으로 그 내용이 전해져, 그 옆쪽에 원래대로 복원한 동래남문비를 전시하고 있다.
◎ 높이: 225cm 너비: 121cm
이 비석은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 남문에서 왜적의 대군과 싸우다 순절하신 부사 송상현공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하여 현종11년(1670년)에 당시의 격전지인 남문 밖 농주산에 세운 비석이다. 그 후 숙종 14년(1688년)에 부사 이덕성이 중창하고 숙종 35년(1709년)에 부사 권이진이 충렬사에 별사(別祠)를 세울 때 별사 앞뜰로 옮겨 왔으나, 영조12년(1736년) 별사를 없애게 되자 동래성 남문 자리로 옮겨 세웠다. 현재는 시립박물관 야외 전시장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비문에는 부산지방의 임진왜란 순절사적이 적혀 있으며, 당시 정계, 학계의 저명한 원로들이 참여하였는데 글은 송시열이 짓고 송준길이 썼으며, 전자(篆字)는 이정영이 썼다. 비석의 비두석(碑頭石)에는 쌍용조각이 있고 대석(台石)은 없어졌다. 현재 비석은 크게 파손되고 비면에 새겨진 기록은 거의 떨어져 상부에 약간이 글만 남아있으나 필사본으로 그 내용이 전해져, 그 옆쪽에 원래대로 복원한 동래남문비를 전시하고 있다.
◎ 높이: 225cm 너비: 121c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