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부산광역시

소장품정보주요 소장품

주요 소장품


금동관음보살좌상(金銅觀音菩薩坐像)(제157호)

금동관음보살좌상(金銅觀音菩薩坐像)(제157호)

분류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유산

소장품명

금동관음보살좌상(金銅觀音菩薩坐像)(제157호)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이며, 어깨와 무릎은 넓어 비교적 안정적인 신체비례를 가지고 있다. 방형(方形)의 얼굴에 양측으로 치켜 올린 눈, 뾰족하고 날렵한 코, 작고 얇은 입술 모양은 이국적인 느낌을 준다.

이 작품은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유행한 불상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원반형 귀걸이, 대좌(臺座) 표현, 이국적인 얼굴 모습 등은 원() 나라 때의 불상 특징과 관련된 새로운 요소이다. 특히 손에 든 정병은 1476년에 제작된 강진 무위사 목조관음보살좌상과 유사한데, 고려 후기 보살상 가운데는 매우 드문 사례이다.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안정적인 신체비례에 화려한 영락장식이 돋보이는 보살상으로 이국적인 얼굴표현과 귀걸이, 대좌 등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고려 후기 작품이다. 특히 정병 형태는 무위사 목조관음보살상 정병보다 선행하는 것으로 주목되는 등 고려 후기 불상 양식 연구에 좋은 자료일 뿐 만 아니라 역사적, 예술적인 가치도 높은 작품이다.

높이: 16cm, 너비: 5.8cm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이며, 어깨와 무릎은 넓어 비교적 안정적인 신체비례를 가지고 있다. 방형(方形)의 얼굴에 양측으로 치켜 올린 눈, 뾰족하고 날렵한 코, 작고 얇은 입술 모양은 이국적인 느낌을 준다.

이 작품은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유행한 불상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원반형 귀걸이, 대좌(臺座) 표현, 이국적인 얼굴 모습 등은 원() 나라 때의 불상 특징과 관련된 새로운 요소이다. 특히 손에 든 정병은 1476년에 제작된 강진 무위사 목조관음보살좌상과 유사한데, 고려 후기 보살상 가운데는 매우 드문 사례이다.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안정적인 신체비례에 화려한 영락장식이 돋보이는 보살상으로 이국적인 얼굴표현과 귀걸이, 대좌 등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고려 후기 작품이다. 특히 정병 형태는 무위사 목조관음보살상 정병보다 선행하는 것으로 주목되는 등 고려 후기 불상 양식 연구에 좋은 자료일 뿐 만 아니라 역사적, 예술적인 가치도 높은 작품이다.

높이: 16cm, 너비: 5.8cm

 

-->


자료관리 담당부서

유물관리팀
051-610-7134
최근 업데이트
2025-03-25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