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부산광역시

소장품정보주요 소장품

주요 소장품


이의양 필 응도(李義陽 筆 鷹圖)

이의양 필 응도(李義陽 筆 鷹圖)

분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소장품명

이의양 필 응도(李義陽 筆 鷹圖)

간결한 배경의 바위 위에 앉아있는 매의 모습을 묘사한 암상응도(巖上膺圖) 계열로 송응도(松鷹圖)에 비해 남아있는 예가 드문 편이다. 그림의 우측 상단에는 조선이신(朝鮮爾信)’이란 관지와 이의양인(李義陽印)’ 이라는 백문방인(白文方印)이 있어 1811년 마지막 통신사 수행화원 이의양이 대마도를 방문했을 때 남긴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의양은 산수화, 인물화, 영모화 등 다방면에 재능이 있는 도화서 화원이다. 유존작 중에는 일본의 구청(求請)에 따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신미년(辛未年)’ 간지와 조선(朝鮮)’ 국호가 있는 작품과 이 그림처럼 조선 국호만 있는 산수화와 동물화가 다수 남아있다. 201710월 조선통신사 기록물 중의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규격: 124.3cm × 42.4cm

 

간결한 배경의 바위 위에 앉아있는 매의 모습을 묘사한 암상응도(巖上膺圖) 계열로 송응도(松鷹圖)에 비해 남아있는 예가 드문 편이다. 그림의 우측 상단에는 조선이신(朝鮮爾信)’이란 관지와 이의양인(李義陽印)’ 이라는 백문방인(白文方印)이 있어 1811년 마지막 통신사 수행화원 이의양이 대마도를 방문했을 때 남긴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의양은 산수화, 인물화, 영모화 등 다방면에 재능이 있는 도화서 화원이다. 유존작 중에는 일본의 구청(求請)에 따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신미년(辛未年)’ 간지와 조선(朝鮮)’ 국호가 있는 작품과 이 그림처럼 조선 국호만 있는 산수화와 동물화가 다수 남아있다. 201710월 조선통신사 기록물 중의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규격: 124.3cm × 42.4cm

 

-->


자료관리 담당부서

유물관리팀
051-610-7134
최근 업데이트
2025-03-25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