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부산광역시

소장품정보주요 소장품

주요 소장품


변박 묵매도(卞撲 墨梅圖)

변박 묵매도(卞撲 墨梅圖)

분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소장품명

변박 묵매도(卞撲 墨梅圖)

변박(卞撲, 생몰년 미상)은 동래부 무청 소속의 무임으로 동래부의 각종 화사를 담당하였던 화가였다. 그는 1760년 홍명한 부사의 명을 받고 임진왜란 관련 기록화인 <동래부순절도><부산진순절도>를 개모한 바 있으며 1783년에는 조선 후기 대일무역 창구인 초량왜관의 모습을 부감법으로 상세하게 묘사한 <초량왜관도>를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1763년에는 통신사 계미사행의 일원으로 도일하여 대마도 지도와 일본 지도 및 풍물 등을 그려온 것으로 전해진다. 매화도는 문인과 사대부의 의취를 가장 잘 표현한 화목으로 시대를 관통하며 사랑받아 왔고 다양한 형태로 그려졌다. 이 그림은 늙은 매화 가지의 새로 난 줄기에서 매화 꽃봉오리가 피어나는 모습을 포착한 것이다. ‘S’자 형태로 뒤틀린 가지와 위로 쭉 뻗은 줄기의 대조는 조선 후기의 매화도의 전형을 따르고 있지만, 가지 밑에 대나무를 어우러지게 한 표현은 변박의 창의적인 화면구성에 의거한 것이다. 화면 좌측 하단에는 세갑신맹하(歲甲申孟夏)’ ‘동화술재사(東華述齋寫)’라는 관지가 있어 변박이 1764년 통신사행 때 그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01710월 조선통신사 기록물 중의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규격: 35cm × 101cm

 

 

변박(卞撲, 생몰년 미상)은 동래부 무청 소속의 무임으로 동래부의 각종 화사를 담당하였던 화가였다. 그는 1760년 홍명한 부사의 명을 받고 임진왜란 관련 기록화인 <동래부순절도><부산진순절도>를 개모한 바 있으며 1783년에는 조선 후기 대일무역 창구인 초량왜관의 모습을 부감법으로 상세하게 묘사한 <초량왜관도>를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1763년에는 통신사 계미사행의 일원으로 도일하여 대마도 지도와 일본 지도 및 풍물 등을 그려온 것으로 전해진다. 매화도는 문인과 사대부의 의취를 가장 잘 표현한 화목으로 시대를 관통하며 사랑받아 왔고 다양한 형태로 그려졌다. 이 그림은 늙은 매화 가지의 새로 난 줄기에서 매화 꽃봉오리가 피어나는 모습을 포착한 것이다. ‘S’자 형태로 뒤틀린 가지와 위로 쭉 뻗은 줄기의 대조는 조선 후기의 매화도의 전형을 따르고 있지만, 가지 밑에 대나무를 어우러지게 한 표현은 변박의 창의적인 화면구성에 의거한 것이다. 화면 좌측 하단에는 세갑신맹하(歲甲申孟夏)’ ‘동화술재사(東華述齋寫)’라는 관지가 있어 변박이 1764년 통신사행 때 그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01710월 조선통신사 기록물 중의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규격: 35cm × 101cm

 

 

-->


자료관리 담당부서

유물관리팀
051-610-7134
최근 업데이트
2025-03-25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