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전시안내 > 특별전시

특별전시

 

48건 (4/6page)
  • 고구려전 포스터.jpg

    (특별기획전) 고구려, 한반도를 품다

    기간
    2012-07-23  ~  2012-09-09  (과거전시)
    장소
    복천박물관 기획전시실
    전시설명
    ○ 전 시 명 : 고구려, 한반도를 품다 ○ 전시기간 : 2012. 7. 24(화) ~ 9. 9(일), 48일간 ○ 전시장소 : 1층 기획전시실 ○ 전시유물 :연천 무등리 찰갑 등 200여 점 ○ 전시주제 :근래 남한지역 고구려유적에서 출토된 무기, 토기, 농공구, 기와,불상 등을 통해 고구려 남진의 역사적 의미 재조명 【부대 행사】 ○ 갤러리 토크 (전시 설명) : 7. 28(토), 8. 18(토) 14:00~15:00 복천박물관 기획전시실, 현장접수
  • 복천_포스터_최종판_레이아웃_1.jpg

    (특별사진전) 사진으로 보는 가야의 풍경

    기간
    2012-04-03  ~  2012-05-28  (과거전시)
    장소
    1층 기획전시실
    전시설명
    ○ 전시명 : 사진으로 보는 가야의 풍경 ○ 전시기간 : 2012. 4. 3(화) ~ 5. 28(월), 56일간 ○ 전시장소 : 복천박물관 1층 기획2전시실 ○ 전시유물 : 가야 유적 발굴 및 유물 사진자료 50여 점 【부대 행사】 ○ 갤러리 토크 ▶ 일시 : 2012년 4월 28일(토), 5월 26일(토) 14:00 ~ 15:00 ▶ 내용 : 2012년 특별사진전 「사진으로 보는 가야의 풍경」전시해설
  • ff.jpg

    (특별기획전) 선사, 고대의 패총 -인간,바다,그리고 삶-

    기간
    2011-10-11  ~  2011-11-20  (과거전시)
    장소
    1층 기획전시실
    전시설명
    ○ 전 시 명 : 「선사·고대의 패총-인간,바다,그리고 삶-」○ 개 막 식 : 2011.10.11(화) 오후 3시○ 전시기간 : 2011.10.11(화)~11.20(일)[41일간]○ 전시장소 : 복천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 전시유물 : 작살맞은 고래뼈, 조개팔찌를 한 인골 등 300여 점 부대행사○ 큐레이터와 함께 하는 갤러리토크▷ 일 시 : 2011년 10월 22일(토), 11월 5일(토), 11월 19일(토) 오후 2~4시▷ 내 용 : 2011년 특별기획전 선사·고대의 패총-인간,바다,그리고 삶- 전시 해설○ 특별초청강연회▷ 일...
  • 교류전포스터_용량줄임.jpg

    (특별교류전)순장소녀 송현, 비사벌을 말하다

    기간
    2011-07-13  ~  2011-08-28  (과거전시)
    장소
    1층 기획전시실
    전시설명
    전 시 명 :「순장소녀 송현, 비사벌을 말하다」 전시장소 : 복천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 전시기간 : 2011. 7. 13(수) ~ 8. 28(일) [47일간] 개최기관 : 복천박물관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전시주제 : 창녕송현동고분 출토유물로 본 삼국시대 비사벌의 고대문화 전시유물 : 창녕 송현동 7호분 출토 패제운주 등 180여점 부대행사 1. 개막식 : 2011. 7. 13(수) 15:00 2. 갤러리 토크 ▷ 일시 : 2011년 7/30(토), 8/13(토), 8/27(토) 14:00 ~ 16:00 ▷ 내용 : 2011년 특별 교...
  • 023.jpg

    履, 고대인의 신

    기간
    2010-10-13  ~  2010-11-21  (과거전시)
    장소
    복천박물관
    전시설명
    복천박물관은 고대 신발 유물을 한자리에 모은 국내 최초의 전시인 2010년 특별기획전「履(리), 고대인의 신」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신발을 통하여 선조들이 남긴 미의식과 생활상을 살펴보고 신발이 역사 속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조명해보고자 마련되었다. 본 전시는 크게 ‘대지를 딛다’, ‘내세를 꿈꾸다’ 2개의 테마로 진행된다. 제1부 ‘대지를 딛다’에서는 가죽신, 나막신, 짚신 등 고대에 일상생활에서 착용한 신발을 소개한다. 고대인들은 옛날부터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가죽, 풀, 나무 등을 이용하여 발을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
  • 20100106224342000특별전포스터.jpg

    신의 거울, 동경

    기간
    2009-09-30  ~  2009-11-15  (과거전시)
    장소
    복천박물관
    전시설명
    복천박물관은 2009년도 특별기획전《神의 거울, 동경》을 개최하였다. 이번 전시는 인류의 오랜 여정과 함께 우리 일상에서 친근한 형태로 존재해 왔던 다양한 청동거울을 한자리에 모아 역사 속에서 거울이 차지하는 의미와 상징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현재의 거울은 일상적인 생활도구의 하나로써 활용되고 있으나 고대에는 지역과 민족에 따라 종교적 혹은 역사·문화적으로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지녀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동경 문화를 재인식하고 우수한 청동기 제작기술을 살펴보고자 전시를 크게 ‘신의 거울’, ‘거울 무역’, ‘...
  • 20090108005838000특별전포스터.jpg

    고고학으로 본 부산의 역사

    기간
    2008-10-10  ~  2008-12-07  (과거전시)
    장소
    복천박물관
    전시설명
    복천박물관은 지난 10월 10일부터 12월 7일까지 총 59일간 2008년도 특별기획전 《고고학으로 본 부산의 역사》를 경남문화재연구원, 울산대학교박물관과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최근의 문화재청 자료에 의하면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부산지역에서 실시된 시굴 및 발굴 조사는 총 200여 회로, 도시의 개발과 함께 상당히 많은 유적조사가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부산지역에서 조사된 유적의 성격을 살펴보면 패총, 분묘, 주거지, 건물지, 가마, 사찰, 성지, 봉수, 원지 등으로 다양하며, 시대 또한 해운대 좌동 · 중동유적과 같은 ...
  • 20080204115454000포스터.jpg

    또 하나의 도구 - 골각기

    기간
    2007-10-02  ~  2007-11-14  (과거전시)
    장소
    복천박물관
    전시설명
    복천박물관에서는 또 하나의 도구-骨角器라는 주제로 2007년 특별전시회를 개최하였다. 동물의 뼈나 뿔로 만든 도구를 뜻하는 골각기(骨角器)는 선사와 고대에 있어서 중요한 생업도구로 사용되었으나 석기나 토기, 철기에 비해 잔존하는 예가 적어 상대적으로 중요성에 대해 주목을 받지 못해왔던 소재였다. 그러나 단단하면서도 탄력이 있는 뼈는 가공이 용이하고 소재도 손쉽게 구할 수 있어, 우리가 생각해 왔던 것 이상으로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번 전시는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각종 골각기를 생산도구, 일상생활도...
  • 200701231023270002006포스터.jpg

    풍요와 안녕의 기원-선사·고대의 제사-

    기간
    2006-09-29  ~  2006-12-03  (과거전시)
    장소
    복천박물관
    전시설명
    이 전시는 복천박물관 개관 1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제사의식을 통해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고자 했던 선사·고대인들의 정신세계를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한 특별전이다. 전시기간은 2006년 9월 29일부터 12월 3일까지이다. 제사는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이러한 질문에서 시작된 《풍요와 안녕의 기원-선사·고대의 제사-》전시는 제기·봉헌품 등 각종 제사관련 유물을 이용하여 신석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의 선사 고대인들의 정신세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출품기관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경남고고학연구소...

 

자료관리 담당부서

복천박물관
051-550-0331
최근 업데이트
2025-06-27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