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전시실은 신석기시대에서 삼국시대까지 한국 무덤의 역사와 변천과정을 종합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각 시대별 무덤의 양식과 부장품이 전시되어 있다.
부산 지역 고분의 특징과 고대 가야문화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으며, 1969년 이후 8차에 걸쳐 실시된 복천동고분군 발굴의 성과와 의의를 파악할 수 있다.
전시구성
관내도
선사시대의 무덤
- 전시설명
- 인간이 의도적으로 시신을 처리한 것은 구석기시대에도 존재하였으나 본격적으로 무덤을 만들고 매장의례를 한 것은 신석기시대부터이다. 신석기시대의 무덤은 청동기시대에 비해 규모도 작고 종류도 단순한 편이다. 무덤의 형태는 움무덤(토광묘), 독널무덤(옹관묘) 등이 있으며, 무덤 속에는 장신구를 비롯한 토기, 석기 등의 생활도구가 부장되기도 한다. 벼농사를 중심으로 하는 청동기시대가 되면 지역에 따라 돌널무덤(석관묘), 움무덤(토광묘), 돌덧널무덤(석곽묘), 독널무덤(옹관묘) 등 다양한 형태의 무덤이 만들어지고 특히 고인돌(지석묘)와 같은 거석기념물이 한반도 전역에서 축조된다. 껴묻거리로는 피장자의 사회적 지위를 알수 있는 청동칼·청동도끼·돌칼·돌화살촉·장신구 등이 부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