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소장품정보 > 중요 소장품

중요 소장품

78 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산수도

    Title

    분류명
    기타중요소장유물
    소장품명
    산수도
    내용
    황철(黃鐵, 1864~1930)은 서화가이자 사진가로 자는 야조(冶祖), 호는 어문(魚門)이다. 1882년 상하이에서 사진 촬영술을 접하고 사진기를 구입하였다. 이후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진퇴를 거듭하면서 중국과 일본 등을 외유하며 신문물의 접하였다. 1906년 귀국하여 궁내의 도화서 혁파 및 사진술의 보급과 활용을 주창하였다. 1910년 한일합방이후에는 관직을 거절하고 일본을 여행하며 수차례 서화전람회를 가졌다. 황철은 김정희의 제자인 강위(姜偉, 1820~1884)의 문하에서 지운영과 함께 수학했으며 19세기 중인들의 남종화 전통을 이어갔다. 그의 작품은 여기적 남종화의 품격을 유지하면서도 필법과 묵법에 강한 개성이 드러나 있다. 산수화의 경우 주로 전경의 수목에 농묵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수지법을 벗어난 개성 넘치고 대담한 형태의 나무를 표현하였다. 이 산수도는 겨울을 풍경을 묘사한 것으로 화면의 전경에 눈 덮인 나무를 배치하고 후경에 겨울산과 초옥을 두었다. 몇 그루 나무만으로 화면 전체를 가득 채우는 과감한 구성과 개성적인 필법에서 황철의 특징이 드러나는 작품이다. 화면 우측 하단에는 ‘冶祖居士黃鐵寫’라는 관지가 있다.
    ◎ 시 기 :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 규 격 : 세로 24.6cm, 가로 44.4cm
    ◎ 재질현상 : 비단에 수묵
  • 동음독서도

    Title

    분류명
    기타중요소장유물
    소장품명
    동음독서도
    내용
    이도영(李道榮, 1884~1933)은 1902년 조석진, 안중식과 함께 고종황제 어진제작에 참여하였다. 1906년부터 한일합방까지 국민교육회, 대한자강회 등 자강계몽단체에 가입해 활동하면서 각종 인쇄미술을 담당했다. 1909년에는『대한민보』에 정치, 사회적 현실을 풍자한 삽화를 연재하였다. 조석진과 안중식 사후에는 서화협회의 실질적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산수, 인물, 화조 및 기명절지화에 능했다. 화면 우측 상단에 전서체로 쓴 ‘동음독서(桐陰讀書)’라는 자필 화제가 있다. <동음독서도>는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에 실려 있는 심주(沈周)의 <벽오청서도(碧梧淸暑圖)>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같은 화제의 그림을 조선 후기 강세황이 남겨 더욱 유명해진 주제이다. 이도영은 벽오청서라는 전통적인 화제를 세로로 긴 화면에 다시 재구성한 하였다. 산과 언덕에는 형식적이며 규칙적인 미법이 베풀어져 있고, 이와 대조적으로 화면을 가로지르는 벽오동의 잎은 강렬한 농묵으로 처리하였다. 전통적인 주제이지만 근대 전환기의 변화하는 시대상을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 시 기 : 20세기 초
    ◎ 규 격 : 세로 54.0cm, 가로 23.7cm
    ◎ 재질현상 : 종이에 수묵
  • 파주문월도

    Title

    분류명
    기타중요소장유물
    소장품명
    파주문월도
    내용
    최우석(崔禹錫, 1899~1964)은 일제강점기 역사인물화의 대표적인 화가이다. 1915년 서화미술회에 입학하여 안중식, 조석진에게 사사받았으며 1923년부터 일본의 가와바타미술학교(川端畵學校)에서 유학하였다. 이후 <포은공>, <고운선생>, <이충무공>, <을지문덕> 등의 역사인물화를 그려 조선미술전람회에 역사화에 입선과 특선을 수차례 수상하여 당대 대표적 역사화가로 자리매김하였다. 그의 역사인물화는 전통적인 초상화 형식에서 벗어나 일본역사화 구성을 차용하였으며, 섬세한 묘사와 화려한 장식성을 특징으로 한다. 최우석은 역사인물화 뿐만 아니라 신선도와 고사인물화 등에도 특장이 있었는데 이와 같은 화목은 화보나 스승의 체본을 전이모사(轉移模寫)하면서 습득한 것으로 보인다. ‘파주문월도’는 당나라 시인 이태백이 술잔을 들고 달을 바라보고 있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 김은호와 조석진 등 선배화가들도 다루었던 화제이다. 그러나 가로로 긴 화면에 맞추어 바닥에 걸터앉은 이태백의 자유로운 자세와 멀찌감치 떨어진 동자의 배치 등에서 선배화가들과는 차별화된 화면구성상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화면 우측 상단에 ‘戊寅秋日 鼎齋寫’ 관지가 있어 1938년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 시 기 : 1938년
    ◎ 규 격 : 세로 34.1cm, 가로 116.7cm,
    ◎ 재질현상 : 비단에 채색
  • 모란도

    Title

    분류명
    기타중요소장유물
    소장품명
    모란도
    내용
    화려한 무늬의 화분에 피어난 다양한 색채의 모란을 그린 그림이다. 모란은 풍염한 형태와 화려함으로 “화왕(花王)”또는 “부귀화(富貴花)”으로 불리며 많은 사랑을 받아 온 꽃이었다. 부귀와 풍요를 상징하는 만큼 조선시대 궁중의례에서 민간 장식화까지 폭넓게 애호되는 화목이었다. 이 모란도는 비단 바탕에 채색한 것으로 유려한 필치와 화려한 색채가 어우러져 모란의 풍성함을 극대화하였다. 원래는 아담한 크기의 6폭 또는 8폭 병풍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는 2폭만 남아있는 상태이다. 19세기의 전형적인 민간 장식화 형식을 따르고 있다.
    ◎ 시대 : 조선시대(19세기)
    ◎ 규격 : 68cm × 71.2cm

자료관리 담당부서

유물관리팀
051-610-7137
최근 업데이트
2023-11-20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