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전시안내 > 소두방의 생활

소두방의 생활

정관박물관은 전국 최초의 삼국시대 생활사 박물관입니다. 예전부터 살기 좋은 마을을 이루었던 정관 가동마을 유적을 통해 자연과 마을의 역사를 연출하여 삼국시대 집안과 마을에서 일어나는 일상의 풍경이 펼쳐집니다. 당시 사람들의 살림살이와 먹거리 · 생업활동 · 풍습 등을 유물을 통해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전시구성

관내도
소두방의 생활 관내도 이미지: 가동마을풍경 - 집 - 음식 - 생활 - 신앙 - 무덤 - 기장의 유적
가동마을 풍경
가동마을 풍경 이미지
전시설명
기장에서 확인된 삼국시대 마을을 복원하여, 관람객이 마을 속으로 들어가 삼국시대의
생활모습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는 역사문화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집-삶의 보금자리
집-삶의 보금자리 이미지
전시설명
집을 지을 때 사용한 나무기둥과 말뚝, 용수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집모양 토기를 전시한다. 발굴 당시 확인된 집자리는 삼국시대 사람들의 토목과 건축기술·온돌과 같은 취사·난방시설, 살림살이 모습을 담고 있다. 실제 가동유적 36호 집자리를 복원하여 관람자가 직접 삼국시대 집 속으로 들어가 체험한다. 가동 마을 유적과 인접한 용수리 고분군에서 발견된 집모양 토기는 영상을 통해 독특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음식 - 소박한 밥상
삼국시대 음식 이미지
전시설명
삼국시대가 되면서 식재료의 범위가 넓어지고 다양한 조리법이 개발되면서 가동마을 사람들의 밥상은 한층 풍요로워졌다. 이전에 비해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고 동물 사육을 통해 안정적인 식생활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삼국시대가 되면 국가가 관리하는 창고군이 등장하는데, 신라와 가야지역에서는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는 다락형태의 고상창고가 발달하였다. 가동유적 사람들이 사용한 그릇과 먹었던 식재료를 전시하고, 곡식을 가공하기 위한 나무절구, 갈판도 전시되었다.
생활 - 생활의 발견
소두방 생활이미지
전시설명
삼국시대가 되면서 식재료의 범위가 넓어지고 다양한 조리법이 개발되면서 가동마을 사람들의 밥상은 한층 풍요로워졌다. 이전에 비해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고 동물 사육을 통해 안정적인 식생활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삼국시대가 되면 국가가 관리하는 창고군이 등장하는데, 신라와 가야지역에서는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는 다락형태의 고상창고가 발달하였다. 가동유적 사람들이 사용한 그릇과 먹었던 식재료를 전시하고, 곡식을 가공하기 위한 나무절구, 갈판도 전시되었다.
신앙 - 풍요와 안녕의 기원
신앙과 풍요를 기원하는 이미지
전시설명
신을 섬기던 삼국시대 사람들은 기장의 수려한 산과 바다 주위에 제사유적과 유물을 남겼는데, 대표적으로 달음산, 동백리, 청강·대라리 유적 등이 있다. 제사 유물은 삼국시대 사람들이 신성하게 여긴 새모양 토기와 다양한 모양의 토기, 점을 치고 의식을 치르기 위한 각골·복골·원반형 토제품 등이다. 마을의 가장 높은 언덕에 제사 지내는 곳을 보호하기 위한 울타리를 짓고 신을 섬기던 청강·대라리 유적을 모형으로 살펴볼 수 있다.
무덤 - 영원한 안식처
무덤 이미지
전시설명
기장지역에 본격적인 무덤이 조성된 것은 4세기경으로 청강·대라리 유적과 가동 용수리 고분군이 대표적이다. 5세기대가 되면 이전의 덧널무덤木槨墓과 5세기 중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돌덧널무덤石槨墓이 혼재하다가 점차 돌방무덤石室墓으로 변화해간다. 죽은 사람을 위한 무덤과 무덤 주위에서 지낸 제사의 흔적인 부장용 토기·철기와 기장에서 최초로 확인된 용수리 고분군 출토 갑주를 전시한다. 기장 청강·대라리유적의 덧널무덤과 독무덤甕棺墓을 모형으로 살펴볼 수 있다.

자료관리 담당자

정관박물관
이은혜 (051-720-6921)
최근 업데이트
2023-05-09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