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전시안내 > 제2전시실

제2전시실

제2전시실 위치 설명 - 동삼동 패총인의 삶

제2전시실

제2전시실 동삼동패총인들의 삶
동삼동패총인들의 삶
  • 01동삼동패총 사람들의 1년
  • 02빗살무늬 토기
  • 03생활도구
  • 04어로활동
  • 05장신구
  • 06신앙과 의례
  • 07대외교류
  • 08사슴무늬 토기
  • 09빗살무늬 토기

동삼동패총인들의 삶

동삼동패총 사람들의 1년
자연과 더불어 살아온 동삼동패총 사람들은 사계절 변화에 적응하며 살아갔습니다.
초기농경과 고기잡이, 견과류 채집, 사냥등 다양한 생업활동과 함께 일상생활에 필요한 토기와 석기도 만들었으며 원거리 항해를 통해 다른집단과 특산품을 교환하는 원시적인 교역활동도 하였습니다.
빗살무늬 토기
신석기시대 토기의 발명으로 사람들은 음식물을 보관하고 삶거나 끓이는 등의 다양한 요리를 먹을 수 있게 되어 식생활이 더욱 풍부해지고 안정되었습니다. 빗살무늬토기는 문화층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무늬를 가지며, 무늬장식기법에 따라 크게 덧띠무늬토기, 눌러찍은무늬토기, 그은무늬토기, 짧은사선문토기, 겹아가리토기등으로 구분되며, 덧띠무늬토기에서 겹아가리토기로 변화해 갑니다.
생활도구
동삼동패총 사람들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돌이나 동물 뼈, 조개껍질, 혹은 교역을 통해 얻은 흑요석 등을 이용하여 일상생활과 생업활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였습니다. 생활도구는 쓰임새에 따라 사냥용, 어로용, 농경용, 일상용구로 나누어집니다. 사냥 및 어로용으로 화살촉ㆍ창끝ㆍ뼈작살ㆍ낚싯바늘ㆍ그물추가 있으며, 식물 채집 및 농경용으로는 돌괭이ㆍ돌보습ㆍ갈돌ㆍ갈판ㆍ공이 등이 있습니다. 일상 도구로는 각종 토기를 비롯한 돌도끼ㆍ돌망치ㆍ 돌끌ㆍ조개칼ㆍ긁개ㆍ뚜르개ㆍ뼈연모 등이 있습니다.
어로활동
동삼동패총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어로활동을 보여주는 많은 어패류와 바다 동물의 뼈가 출토되었습니다. 동삼동패총 사람들은 이들을 잡기 위하여 돌이나 뼈로 만든 작살, 낚싯바늘 혹은 그물을 이용하였으며, 상어ㆍ방어ㆍ다랑어ㆍ대구 등의 큰 물고기를 잡기 위해서 먼 바다까지 나가서 고기잡이를 하였습니다. 강치ㆍ바다표범ㆍ작은 고래 등은 바닷가에서 작살이나 창을 이용해 직접 포획하였고, 어류 외에 소라ㆍ고동ㆍ굴ㆍ홍합ㆍ전복ㆍ피조개ㆍ백합ㆍ성게 등도 바닷가에서 채취하여 식량으로 이용하였습니다.
장신구
동삼동패총 사람들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동물뼈나 이빨ㆍ조개ㆍ옥ㆍ돌ㆍ흙 등의 재료로 목걸이ㆍ팔찌ㆍ귀걸이ㆍ뒤꽂이 등의 각종 장신구를 만들어 사용하였습니다. 이들은 장식뿐 아니라 주술적인 목적으로도 이용하였으며, 착장 양상을 통해 성별, 사회적 지위 등을 살펴볼 수 있어 당시 사람들의 관습을 알 수 있는 좋은 자료입니다.
신앙과 의례
자연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으면서 살아온 신석기시대 사람들은 생활 자체가 종교적이고 의례적인 측면이 강했습니다. 자연에 대한 두려움과 생업활동의 안전ㆍ풍요ㆍ다산 등을 종교적 신앙으로 해결하였으며, 일부 자연물과 동식물을 신격화하거나 형상화하여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조개가면은 마을의 제사나 축제 때 사용된 의례도구로 생각되며, 곰모양토우는 당시 사람들의 동물숭배 신앙을 보여줍니다.
대외교류
신석기시대 한반도 동남해안지역과 일본 규슈〔九州〕지역 사람들은 바다를 사이에 두고 쓰시마섬〔對馬島〕을 징검다리로 삼아 활발하게 교류하였습니다. 동삼동패총에서 출토되는 조몬〔繩文〕토기와 흑요석제 석기는 동삼동패총 사람들이 바다 건너 일본지역과 직접 교류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동삼동패총을 비롯한 남해안지역 출토 흑요석은 성분분석 결과 일본 북부 규슈산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동삼동패총에서 대량으로 출토된 조개팔찌는 국내 여러 지역뿐만 아니라 규슈지역 흑요석과의 교역물로서 쓰시마섬 등지에 공급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슴무늬 토기
사슴무늬토기는 한반도에 알려진 가장 오래된 그림 중 하나로 붉은색을 칠한 토기 파편에 2마리의 사슴무늬가 그려져 있습니다. 바리 모양 토기의 아가리 주위를 돌아가면서 사슴 형상을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이 토기 속 사슴 그림은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하여 세부적인 모습은 과감하게 생략하고 사슴의 특징만을 간략하게 묘사하였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사슴 그림과도 같으며 토기의 용도는 사슴 사냥에 대한 기원이나 이와 관련된 의식에서 사용한 특수한 용기로 추정됩니다.

자료관리 담당자

전시운영팀
임수진 (051-403-1193)
최근 업데이트
2022-03-17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